기업의 재무제표를 분석할 때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가 영업이익입니다. 영업이익이 흑자(+) 인지, 적자(-) 인지를 확인하는 것은 기업의 수익성을 판단하는 데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업이익이 적자인지 확인하는 방법을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영업이익이란?
영업이익(Operating Income) 은 기업이 본업(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수익에서 비용을 뺀 금액입니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0idnk/btsL6cmmL0i/TFe56mGYJjW5fz2r5ui57K/img.png)
즉, 기업이 제품을 판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벌어들인 매출에서 재료비, 인건비, 임대료 등 각종 비용을 제외하고 남은 금액입니다.
- 영업이익 (+) → 기업이 본업에서 돈을 벌고 있다는 뜻 (흑자)
- 영업이익 (-) → 기업의 본업이 적자를 보고 있다는 뜻 (적자)
2. 재무제표에서 영업이익 적자인지 확인하는 방법
①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확인하기
재무제표에서 영업이익은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에 표시됩니다.
- 손익계산서는 보통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구성됩니다.항목내용
매출액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한 총 금액 매출원가 제품을 만들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들어간 비용 판매비와 관리비 인건비, 광고비, 임대료 등 운영비용 영업이익 매출액에서 매출원가와 판관비를 뺀 금액 - 영업이익 항목이 마이너스(-)로 표시되어 있으면 적자입니다.
- 마이너스 표시가 없으면 영업이익이 흑자(+) 상태입니다.
② 증권사 홈페이지나 기업 공시 자료 활용하기
만약 직접 재무제표를 확인하기 어렵다면, 증권사 홈페이지나 전자공시시스템(DART, https://dart.fss.or.kr/) 을 이용하면 쉽게 볼 수 있습니다.
- 기업 이름 또는 종목 코드를 검색
- 최근 분기 보고서를 클릭
- 포괄손익계산서에서 영업이익 확인
대부분의 증권사 리포트에서도 영업이익이 적자인 경우 빨간색이나 괄호( )로 표시하므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③ 영업이익률도 함께 확인하기
영업이익이 적자인 경우, 영업이익률을 확인하면 기업의 수익성 흐름을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kliM9/btsL6bHM9j5/36ZqoOtfMoiNOolnmH2bvK/img.png)
- 영업이익률이 마이너스(-) 라면 영업 손실이 발생한 것
- 영업이익률이 낮아지는 추세라면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는 신호
기업의 재무 상태를 분석할 때는 단순히 영업이익 적자 여부뿐만 아니라 영업이익률 추이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영업이익 적자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
영업이익이 적자라는 것은 기업이 본업에서 돈을 벌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이므로, 지속적인 적자가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기업의 재무 건전성 악화 → 지속적인 영업 손실이 누적되면 기업의 자금 사정이 나빠짐
✅ 투자자의 신뢰 하락 → 주식시장에서 투자 매력이 감소하고 주가 하락 가능성 증가
✅ 비용 절감 또는 구조조정 가능성 → 인건비 감축, 사업 구조조정 등 가능성 존재
하지만 일시적인 적자는 신사업 투자, 경기 변동 등의 이유로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기업의 장기적인 실적 흐름을 함께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결론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에서 영업이익이 (-)인지 확인
✅ 영업이익률을 함께 살펴보면 수익성 흐름을 더 정확하게 분석 가능
✅ 일시적 적자와 구조적 적자를 구분하고 기업의 장기적인 실적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
재무제표를 볼 때 단순히 적자 여부만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전반적인 수익성, 영업이익률, 재무 건전성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기업 분석을 할 때는 단기적인 실적보다 장기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