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IT

내 ip주소 확인하기 방법 3가지

by 빗소리 2021. 3. 23.
반응형

인터넷을 사용한다는 것은 서버와의 연결을 의미합니다. 서버에서 할당한 고유 주소인 ip주소가 존재하게 되며, 내 ip주소란 의미는 서버에서 할당된 ip-address를 나타냅니다. ip주소를 확인하는 이유는 다양할 것이며, 이를 확인하는 방법도 다양합니다. 개인적으로 아래의 3가지 방법을 추천합니다.

 

※ ip주소(ip-address)란, 인터넷 장치들이 서로를 호출하기 위해 부여된 이름, IPv4, IPv6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의 경우 숫자로 이루어진 ip주소를 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의미있는 혹은 그와 비슷한 문자를 사용해 표현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내 ip주소를 확인하는 방법 3가지

1. 윈도우 cmd에서 확인하는 방법

윈도우의 명령 프롬프트(CMD)를 활성화 한 후, 일정한 명령어를 통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ip 주소 또한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ipconfig" 명령어를 입력하시면 LAN 어탭터의 ip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윈도우 cmd 명령어를 입력해 컴퓨터 ip주소를 확인하는 모습
cmd 명령어를 이용해 ip주소 확인하는 방법

  • CMD(명령프롬프트) 활성화
    • 윈도우키 + R → cmd 입력 → 엔터
    • 검색창을 이용해 'cmd' 검색 후, 실행
  • CMD창에서 'ipconfig'입력 후, 엔터

단, 공유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공유기에서 할당된 ip주소가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외부 ip주소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음 방법을 추천합니다. (공유기를 거치지 않았다면 외부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공유기 설정을 통해 내 ip주소 확인하기

일반적으로 pc에서 확인할 경우 외부 ip주소가 아닌 공유기에서 할당된 주소가 보여집니다. 따라서, 외부 ip주소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공유기에서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192.168.0.1'을 입력하시면 공유기 설정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해당 방법은 공유기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iptime의 경우는 동일합니다.)

 

 

사용하는 공유기에 따라서 '로그인' 절차를 거쳐야 할 수 있습니다. 초기 접근시 'admin'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관리도구' 메뉴에서 '시스템 요약 정보'를 보시면 '외부 ip' 항목이 있습니다. 서버에서 사용자의 공간에 할당된 ip 주소입니다.

연결된 공유기 설정을 통해 외부 ip주소를 확인하는 모습
공유기 설정을 이용해 ip주소 확인하는 방법

  • 웹브라우저 주소창으로 iptime 공유기 설정 접근
  • 192.168.0.1 입력
  • 관리도구 선택
  • 시스템 요약 정보의 '외부 ip' 정보 확인

단, 해당 방법은 조금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편한 방법은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아래의 3.번 내용을 참고해 주세요.


3. 웹사이트를 이용해 내 ip주소 확인하기

네이버, 다음등의 검색 포털 사이트에서는 접속한 기기의 ip주소를 표시해주는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내 ip주소'로 검색하시면 상단에 ip 주소가 표시됩니다. 해당되는 숫자가 접속한 pc의 ip주소입니다. 그 밖에도 ip주소만을 서비스하는 웹사이트들이 있습니다.

웹사이트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ip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
웹사이트를 이용해 ip주소 확인하는 방법

  • '내 ip주소' 검색
    • 네이버, 다음 검색 결과 상단에 표시
  • ip주소 서비스 웹사이트
    • ko.inforbyip.com
    • ip.pe.kr

 

마치며.

자신의 ip주소는 인터넷에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고유한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ip 주소 확인 뿐만 아니라 ip 보안에도 신경을 쓸 필요가 있습니다. vpn등을 이용하시면 ip보안을 한층 강화할 수 있으며, 보안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으로도 컴퓨터 자체의 정보를 지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내 ip주소 확인 방법으로는 가장 간단한 3.번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반응형